비덴트기업의 개요, 사업내용,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본 게시글은 작성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주식투자를 권유하는 게시글이 아닙니다. 모든 주식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기업개요
비덴트기업은 방송용 모니터 및 관련 기기를 생산하는 벤처기업으로 2002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창사 이래로 디지털 방송과 전문가용 비디오 시장에 필요한 고성능 HD 비디오 장비를 개발,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 중 HD 디지털 방송용 디스플레이는 국내외 유수의 방송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세계 시장에서는 소니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사업내용
비덴트기업의 주요제품인 방송용 디스플레이의 주요 목표시장은 지상파방송 사업자를 위주로 한 각종 방송사업자입니다. 국내 시장의 주요 지상파방송사업자는 KBS, MBC, SBS, EBS, OBS 등으로서 세계 지상파방송국수인 1,700여 개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해외시장으로 눈을 돌렸으며, 2004년 NAB Show를 기점으로 세계시장에 당사의 브랜드를 홍보하는데 전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는 아시아, 미주, 유럽 아프리카, 중동, 오세아니아 등 전 세계 대륙에 디스트리뷰터망을 형성하고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세계 주요 방송국으로는 영국의 BBC, 미국의 CNN, NBC, ABC, Disney, FOX TV, ESPN, HBO, 이탈리아의 RAI, 독일의 ZDF 등 다수가 있습니다. 방송장비산업은 막대한 자본과 고도의 기술력을 필요로 하는 산업으로서, 일본의 SONY, 미국의 Harris와 같이 제작부터 송출에 이르는 전반적인 생산라인을 구축한 소수 선진기업들이 독과점 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시장입니다. 한국방송기술산업협회가 2010년 5월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세계 방송장비 시장은 일본이 43%, 미국이 36%, 유럽이 16%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방송용 디스플레이 역시, 방송장비의 일부품목으로서 아날로그 텔레비전시대까지는 주로 방송장비 종합메이커인 SONY, Panasonic, JVC, Grass Valley(舊 Thomson) 등이 전 세계 시장을 장악하고 있었으며, 중소기업으로서는 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운 품목이었습니다. 이는 선진국이 주도하고 있는 방송장비 산업의 특성상, 완벽한 품질이 우선시되며 단순한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는 시장진입이 매우 어렵기 때문입니다.
사업현황
세계 방송용 디스플레이 시장은 기존의 대기업인 일본의 SONY, Panasonic, JVC 외에도, 중소기업으로서 당사를 포함하여 미국의 Marshall Electronics, Flanders Scientific, Ikan, SmallHD 독일의 HD2Line, 영국의 Vutrix 등 전 세계 30여개사가 제품을 생산, 공급하고 있는 완전경쟁형태의 시장입니다. 보통 해외입찰 등에 의한 경쟁 시 에는 SONY를 위시한 일본 업체들 및 자국의 로컬 브랜드와 품질 및 가격 면에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방송장비 산업은 그 범위와 종류가 매우 다양하게 존재하므로 시장규모와 시장점유율을 명확하게 산출하기는 쉽지 않지만, 영국 시장조사 기관 Futuresource 자료에 따르면 판매 대수 기준으로, 당사는 일본 대기업인 SONY, 영국 대기업 Vitec Group에 인수된 SmallHD(미국)에 이어 3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SmallHD의 경우 $500 이하의 저렴한 뷰파인더 모니터를 주력제품으로 하고 있어, 판매 금액을 기준으로 보면, 다양한 인치를 판매하는 당사가 Sony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매년 4월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방송장비 전시회 NAB에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 연속 Post Picks Awards, Best of Show 등의 상을 수상하는 등 세계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초고해상도 방송용 모니터 시장 선도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신규사업으로 4차 산업 혁명의 핵심기술로 꼽히는 블록체인 기술은 수많은 거래 정보를 한데 모아 데이터로 블록(장부)를 만들고 이를 사슬(체인)처럼 연결하는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모든 장부들이 연결돼 있고 참여자 장부를 공유하기 때문에 위, 변조가 불가능하고 이를 통해 해킹을 막을 수 있어 높은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이런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대표적 사례는 비트코인으로 대표되는 암호화폐(또는 가상화폐)입니다. 사용자끼리 직접 거래가 가능하여 거래 과정을 단순하게 만들고 거래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블록체인 기술은 의료, 콘텐츠, 금융, 물류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의 산업의 범위 및 산출 방식에 따라 기관별 시장전망은 상이하나 시장조사 기관인 글로벌 마켓 인사이트(Global Market Insight)의 보고서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술의 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 4억 9천여 달러로, 2019년에서 2025년 사이에 연평균 69%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다른 시장조사 기관 리서치 다이브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6년 블록체인 IoT 시장규모가 58억 270만 달러(약 7조 38억 5,890만원)에 달하고 이때까지의 연평균 성장률이 91.5%가 될 전망이라고 예측하는 등 긍정적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또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 따르면 2022년 블록체인 국내 시장 규모가 약 3562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고, 우리 정부에서도 블록체인 시장 활성화와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약 343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하는 등 블록체인 기술은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갈 중요한 기술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 회원수 1위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Bithumb)의 기획, 개발에 참여한 주주 회사로 빗썸을 통해 습득한 P2P 네트워크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블록체인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빗썸의 암호화폐 거래소로서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시킨 새로운 프로젝트들을 발굴, 구축해 나가며 미래 경제 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 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상장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온 기업개요, 사업내용, 현황 (1) | 2023.02.17 |
---|---|
안트로젠 기업개요, 사업내용, 현황 (0) | 2023.02.16 |
오로스테크놀로지 기업개요, 사업내용, 현황 (2) | 2023.02.15 |
서플러스글로벌 기업개요, 사업내용, 현황 (1) | 2023.02.15 |
티쓰리 기업개요, 사업내용, 현황 (1) | 2023.02.14 |
댓글